정신적인 스트레스가 몸에 미치는 영향과 극복방법
무리한 운동이나 일을 할 때 피곤한 게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책상에 앉아 업무를 하거나 정신적인 일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는 학생들도
몸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도 다반사입니다.
정신적인 피로는 신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가 있으며
때로는 몸이 심하게 아픈 경우도 있습니다.
정신적인 피로도 육체적인 피로만큼이나 나쁩니다.
한 가지 예로 정신적 피로에 힘든 사람들 대부분은 육체에 병이 나고
두통이나 근육통도 경험할지 모릅니다.
수면 부족에 시달릴 수도 있습니다.
아래 나열한 것들의 증상은 정신적인 피로에 의해 일어나는 증상을 나열한 것입니다.
수면 부족, 두통, 의사결정장애, 집중력 부족,
식욕부진, 기억력 저하, 근육통, 면역력 저하, 현기증
정신적으로 피곤하면 우리의 몸은 휴식을 취하게 하려고 신호를 보냅니다.
그 증상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정신적 피로를 극복하는 방법
살면서 최소 한 번 이상은 정신적인 피로를 경험하실 텐데
이것이 절대 성공적인 삶을 위해 치열하게 살았다고 생각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하지만 절대 그렇지가 않습니다.
우선 스트레스를 극복할 뿐 아니라 막는 방법을 알고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1. 나의 시간체크와 불필요한 일정 조율하기
보통 일을 하던 공부를 하는 시간에 집중하다 보면
어느 순간 휴식하는 걸 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주일 정도 무엇을 하고 있는지 체크하고
그에 맞는 알맞은 휴식을 자신에게 보상해보세요.
시간을 체크하면서 불필요한 것들과 실제 일한 것만큼의 성과를 보지 못하는 것들을 메모합니다.
예를 들어 불필요한 회의, 모임, 거절하기 어려운 친구들의 부탁들이요.
이것들을 차단하지 못할 경우는 제한하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2. 스케줄 정리하지 말기
달력이나 오늘의 일정 스케줄에 사소한 것들의 스케줄을 넣지 마세요.
정신적으로 피로한 이유는 이것들을 다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나타납니다.
해야 할 일을 달력에 적다 보면 실제 소화할 수 없다는 걸 아실 겁니다.
그러기에 처음부터 차단을 하는 겁니다.
3. 수면과 적당한 운동
수면은 가장 중요합니다.
수면이 부족하면 신경이 날카로워지고 이로 인하여
하는 일도 방해가 되며 원만히 해결되지 않을 시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이어집니다.
수면시간이 일정하도록 한달가량 매일 같은시간에 자고 일아나 보세요.
바쁜 시간을 쪼개어 운동시간에 투자해보세요.
격렬한 운동은 필요가 없습니다.
가볍게 걷거나 스트레칭도 좋습니다.
누워있거나 앉아 있는 시간을 최소화하기만 하면 됩니다.
4. 올바른 식습관과 수분섭취
사람의 몸은 각자에 따라 필요한 영양소가 다릅니다.
그러기에 혈중 농도를 검사하여 부족한 비타민군을 파악하고 되도록 먹도록 하세요.
과식을 한다면 식사량을 줄여 소식하길 권장하며 몸에 활력을 높이고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보통 성인 하루 물 섭취 권장량은 2 L 이상입니다.
하지만 바쁜사회를 살아가면 챙겨 먹기가 어려운 게 물이죠.
물먹는 시간 알람을 설정해두면 잊지 않고 물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한달 정도 충분한 물 마시기를 실천하신다면 분명 몸에 변화가 있을겁니다.
5. 주기적인 휴식
업무에 집중하다 보면 휴식 취하는 것을 잊곤 합니다.
한 시간은 업무에 집중 10분은 휴식이라는 룰을 만들어 일해보세요.
필요에 따라서 알람 설정도 좋습니다.
10분의 휴식 동안 스트레칭이나, 걷거나, 물을 마시며 재충전의 시간을 가져보세요.
그리고 컴퓨터 앞에 앉아 일을 하시는 분들은 눈 건강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먼 곳을 응시하거나 녹색 계열의 색을 자주 보는 습관을 가져보세요.
6. 아무것도 안 하기
아무것도 안 하는 게 남들에게 뒤처지는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똑똑하고 항상 바쁜 사람들은 휴식시간도 사치라고 느끼는 분도 계실 겁니다.
하지만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육체적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만성피로라는 항상 피곤한 상태가 지속됩니다.
연간 휴가를 계획하고 실행해보세요.
아무것도 안 하는 게 가끔은 도음이 될 수도 있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하여 몸과 마음에 상처를 입고 계신 분들이 주위에도 여럿 있습니다.
옆에서 보면 안타까울 때도 많아 조언의 말을 해도
실제 듣는 사람은 거의 제로에 가깝습니다.
결국 본인이 마음먹기에 따라 다르며 다짐이 중요합니다.
자신을 체크하고 되돌아보면서 스트레스의 원인을 차단하는 게 도움이 되니 오늘부터 실천해보면 어떨까요?